useTransition 이해하기

1ilsang
1ilsang
클라이밍 하실래염?
published

image

최근 리액트 공식 사이트가 react.dev로 이사하게 되었다. 이에 맞춰 한국 번역 페이지도 새롭게 단장하게 되어 기여자를 모집하고 있었다.

평소 리액트 커뮤니티에 기여할 방법을 찾던 중이었기에 useTransition 파트를 지원했고 무사히 번역 PR을 올릴수 있었다.

번역된 페이지 보기

번역을 하면서 useTransition에 대해 알게 된 것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TL;DR!

useTransition은 컴포넌트 최상위 수준에서 호출되어 startTransition을 통해 우선순위가 낮은 상태 업데이트(setState)들을 transition이라고 표시한다. 리액트는 UI 렌더링시 우선순위에 따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목차

  1. useTransition이란?
    • isPending, startTransition 이해하기
      • startTransition 유의 사항
    • 전체 코드로 이해하기
  2. Suspense와 연계하기
  3. 그외 자잘한 팁들
    • vs throttle, debounce
    • startTransition에 전달된 함수는 즉시 실행된다
    • useDeferredValue
  4. 마무리

useTransition이란?

useTransitionUI를 차단하지 않고 상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리액트 훅이다.

const [isPending, startTransition] = useTransition();

여기서 UI를 차단하지 않고 라는 문구를 유의하기 바란다. useTransition을 통해 React18에 추가된 많은 기능중 하나인 Concurrent rendering(동시성 렌더링)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래 걸리는 상태 업데이트(setState)가 존재할 경우, 해당 업데이트가 완료된 이후에 렌더링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시간만큼 렌더 트리가 '블락(Block)'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아무런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되므로 UX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useTransition은 컴포넌트 최상위 수준에서 호출되어 startTransition을 통해 우선순위가 낮은 상태 업데이트들을 transition이라고 표시해 리액트가 UI 렌더링시 우선순위에 따라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렌더링이 오래 걸리는 컴포넌트의 블락을 피할수 있게 된다.

transition으로 표시된 상태 업데이트(A라 호칭)는 다른 일반적인 상태 업데이트(B)가 호출될때 중단되고 B의 상태 업데이트가 완료된 다음 다시 A를 렌더링 시작한다. 이를 통해 특정 컴포넌트의 렌더링이 오래 걸리더라도 다른 우선순위 높은 상태의 변경을 통해 User Interaction을 블로킹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isPending, startTransition 이해하기

const TabButton = ({ children, onClick }) => {
  const [isPending, startTransition] = useTransition();
  const [tab, setTab] = useState('about');
 
  if (isPending) {
    return <b className="pending">{children}</b>;
  }
  function selectTab(nextTab) {
    startTransition(() => {
      // NOTE: async 함수는 들어오면 안된다.
      setTab(nextTab);
    });
  }
  // ...아래에서 풀 코드로 설명
};

useTransition은 두 개의 항목이 있는 배열을 반환한다.

  1. isPending 플래그는 대기 중인 transition이 있는지 알려준다.
  2. startTransition 함수는 상태 업데이트(setState)를 transition으로 표시 해주는 함수다.

startTransition 유의 사항

  1. 동기 함수여야 한다.
  2. transition으로 표시된 setState는 다른 setState 업데이트시 중단된다.
    • 다른 상태 업데이트가 있을 경우 그것을 먼저 처리한다는 뜻
  3. 텍스트 입력을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전체 코드로 이해하기

전체 코드로 이해해 보자. 중간중간 주석을 통해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코드 샌드박스는 공식 문서에서 잘 제공해 주므로 직접 실행해 비교해 보면 좋다.

const App = () => {
  const [tab, setTab] = useState('about');
 
  return (
    <>
      {/* 탭을 클릭하면 렌더링할 탭 컴포넌트가 설정된다 */}
      <TabButton isActive={tab === 'about'} onClick={() => setTab('about')}>
        About
      </TabButton>
      <TabButton isActive={tab === 'posts'} onClick={() => setTab('posts')}>
        Posts (slow)
      </TabButton>
      <TabButton isActive={tab === 'contact'} onClick={() => setTab('contact')}>
        Contact
      </TabButton>
      <hr />
      {/* 현재 탭에 따라 탭 컴포넌트가 렌더링 된다 */}
      {tab === 'about' && <AboutTab />}
      {tab === 'posts' && <PostsTab />}
      {tab === 'contact' && <ContactTab />}
    </>
  );
};
 
const TabButton = ({ children, isActive, onClick }) => {
  const [isPending, startTransition] = useTransition();
 
  // 현재 탭이 활성화 되면 isActive 상태가 된다.
  if (isActive) {
    return <b>{children}</b>;
  }
  // 대기 중인 transition이 있다면 isPending이 된다.
  if (isPending) {
    return <b className="pending">{children}</b>;
  }
  /**
   * props로 받은 onClick 함수를 startTransition으로 감싸주기 때문에
   * onClick 함수(setTab)은 transition으로 설정되어 렌더링시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된다.
   * 그 결과 오랜시간이 걸리는 PostsTab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는 도중 다른 탭을 누르게 되면
   * PostsTab 컴포넌트의 렌더링을 멈추고 다른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게 된다.
   **/
  const handleButtonClick = () => {
    startTransition(() => {
      onClick();
    });
  };
  return <button onClick={handleButtonClick}>{children}</button>;
};
 
const AboutTab = () => {
  return <p>Welcome to my profile!</p>;
};
const PostsTab = () => {
  const startTime = performance.now();
  while (performance.now() - startTime < 1) {
    // 1 ms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매우 느린 코드를 실행한다.
  }
  return <p>PostsTab</p>;
};
const ContactTab = () => {
  return <p>ContactTab</p>;
};
const ContactTab = () => {
  return <p>ContactTab</p>;
};

Suspense와 연계하기

const App = () => {
  return (
    <Suspense fallback={<Spinner />}>
      {/*
        위의 App 코드와 동일
       */}
    </Suspense>
  );
};

useTransition의 startTransitionSuspense와 함께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로딩 인디케이터 노출을 막을수 있다.

일반적으로 렌더링이 오래 걸리는 컴포넌트를 Suspense로 감쌀 경우 해당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때마다 Suspense의 fallback 컴포넌트를 만나게 된다. 해당 서스펜스 트리 하위의 렌더링을 중단할 수 없기 때문에 오래 걸리는 렌더링을 막을 방법이 없다. 해당 렌더링이 종료될 때까지 폴백 컴포넌트를 마주해야만 한다.

이때 오래 걸리는 상태 업데이트를 startTransition로 감싸게 될 경우 transition 표시가 되면서 "긴급하지 않은" 상태 업데이트로 간주된다. 이로 인해 리액트는 Suspense를 통해 컨텐츠를 숨기지 않고 이전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게 된다.

이는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transition은 중단할 수 있으므로 리렌더링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 Suspense의 경우 하위 컴포넌트가 모두 렌더링 될때까지 fallback을 노출시킨다.
  2. transition은 서스펜스 폴백을 방지(대기하지 않으므로)하므로 갑작스러운 로딩 인디케이터 노출을 피할수 있다.

그외 자잘한 팁들

vs throttle, debounce

디바운싱과 스로틀로 이벤트의 지연 및 제한은 가능하지만 UI 블로킹의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아무리 이벤트 실행 시점/횟수를 줄인다 하여도 한번 실행이 되는 순간 블로킹이 되는건 여전하기 때문이다.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선 이벤트의 우선순위를 나누어 유저 인터렉션이 일어났을 때 해당 이벤트를 우선적으로 처리해 화면이 멈춘것 처럼 보이지 않게 해야한다.

startTransition에 전달된 함수는 즉시 실행된다

console.log(1);
startTransition(() => {
  console.log(2);
  setPage('/about');
});
console.log(3);
 
// 1, 2, 3

startTransition의 콜백 함수는 즉시 실행된다. 함수가 실행되는 동안 예약된 모든 상태 업데이트는 transition으로 표시된다.

// React 작동 방식의 간소화된 버전
let isInsideTransition = false;
 
function startTransition(scope) {
  isInsideTransition = true;
  scope();
  isInsideTransition = false;
}
 
function setState() {
  if (isInsideTransition) {
    // ... transition state 업데이트 예약 ...
  } else {
    // ... 긴급 state 업데이트 예약 ...
  }
}

transition으로 처리된 경우 transitionState로 예약(큐잉)되고 아닌 경우 일반적인 state 업데이트로 예약된다.

예약된 작업들은 React18의 fiber 엔진(자체적인 스케줄러를 가지고 있다)이 적절하게 스케줄링 해준다.

useDeferredValue

useDeferredValue도 useTransition과 유사하게 낮은 우선순위를 지정하기 위한 훅이다. useTransition은 함수 실행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반면, useDeferredValue는 값의 업데이트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마무리

위의 내용을 한번더 정리하며 글을 마무리 하려고 한다.

  1. useTransition은 컴포넌트 최상위 수준에서 호출되어 startTransition을 통해 우선순위가 낮은 상태 업데이트(setState)들을 transition이라고 표시한다. 리액트는 UI 렌더링시 우선순위에 따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2. startTransition 함수는 동기 함수여야 한다.
  3. transition 표시된 setState는 다른 setState 업데이트시 중단된다.
  4. transition 표시된 상태 업데이트는 Suspense로 컨텐츠를 숨기지 않고 이전 컨텐츠를 계속 표시한다.
  5. fiber 엔진을 통해 transition된 상태와 다른 상태의 스케줄링이 가능해졌다.
📮 이 포스트에 관심 있으신가요? 이슈를 남겨주세요! 👍